HOME 다시개벽 2022·겨울호·제9호: 진보 없는 지구학다시개벽 2022·겨울호·제9호: 진보 없는 지구학● 다시열다 ○ 조성환, 권두언 – 자연 없는 생태학, 성장 없는 경제학, 진보 없는 지구학 ● 새글모심 ○ 주기화, 해러웨이의 자연문화와 퇴비주의 ○ 김영진, 화이트헤드의 [...] Read more다시개벽 2022·가을호·제8호: 이동, 우리 시대의 화두다시개벽 2022·가을호·제8호: 이동, 우리 시대의 화두● 권두언 RE: START ○ 우석영, 이동을 다시 생각한다 ● 다시쓰다 RE: WRITE ○ 주용기, 위대한 비행을 감행하는 새들과 사람의 평화로운 공생을 바라며 ―무분별한 개발을 [...] Read more2022·여름호·제7호2022·여름호·제7호● 권두언 RE: START ○ 홍박승진, 내 몸을 떨리게 하는 것은 모두 님이다 ● 다시뿌리다 RE: ACT ○ 윤혜민, 다시는 그전으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다 ○ 신채원, 생명학연구회, 무엇을 연구할까 [...] Read more2022·봄호·제6호2022·봄호·제6호● 권두언 RE: START ○ 조성환, 인류세 시대의 생활개벽 ● 다시뿌리다 RE: ACT ○ 이상미, 나대다, 유랑하다, 행동하다―어느 여성의 시민활동 성장기 [...] Read more2021·겨울호·제5호2021·겨울호·제5호● 권두언 RE: START ○ 조성환, 동학, 어떻게 할 것인가? ● 다시뿌리다 RE: ACT ○ 이은영, 성평등의 시작은 동학이다 ○ 김진희, 한살림과 동학사상 ○ 송지용, [...] Read more2021·가을호·제4호2021·가을호·제4호● 권두언 RE: START ○ 아픈 것들과 이 땅의 시간 ― 홍박승진 ● 다시쓰다 RE: WRITE ○ 시간들의 교차로에서: 아픈 사람, 퀴어, 장애의 시간 ― [...] Read more2021·여름호·제3호2021·여름호·제3호● 권두언 PROLOGUE ○ 성민교. 괴물이 된 지구, 괴물이 될 인간 ● 다시쓰다 RE: WRITE ○ 오세란. 인간중심주의란 성인중심주의다: 인간과비인간을 교차하는 존재, 아동과 청소년에 대하여 [...] Read more2021·봄호·제2호2021·봄호·제2호한국 예술론 특집: 형상 없는 흔적, 흔적 없는 형상 ● 권두언 PROLOGUE ○ 서학은 형상이 있으나 흔적이 없고 동학은 형상이 없는 듯하나 흔적이 있다 / 홍박승진 [무료 공개] ● 다시쓰다 RE: WRITE [...] Read more2020·겨울호·창간호2020·겨울호·창간호서구 근대 백여 년에 운이 역시 다했던가 ● 창간사 ○ 2020 『다시개벽』 선언문 [무료 공개] ● 권두언 ○ 서구근대 백여년에 운이역시 다했던가 [무료 공개] ● 다시읽다 ○ 다시 『개벽』을 [...] Read more 술이창작(述而創作) 주체적 근대의 모색 이 땅에서 공공철학하기(1) 한국철학의 특징을 찾아서 우보만리(牛步萬里) 가짜뉴스, 언론자유 그리고 다시개벽 다시개벽이야기 – 이화서원 넓게 잇기 영화 <천문: 하늘에 묻는다>, 그리고 동학의 신간 내 마음 열리는 곳(吾心開處) 다시개벽을 위하여 코로나19와 민주주의 코로나19와 학교 담연담연 <다시개벽> 제1호 (2020. 겨울) 권두언 강주영 이야기 개벽 창작실 개벽 시대의 지구인문학을 다시, 개벽한다 가고 다시 돌아오지 아니함이 없는 길을 다시 떠나며 내 마음 열리는 곳에 세상 또한 열리고 유범(流帆) notice다시개벽 북디자이너 "안마노" 이야기 [채널예스기사펌]다시개벽 홈페이지 오픈『다시개벽』 제4호(가을호) 주제에 관한 글을 모십니다다시개벽 홈페이지 작업 중