계간 다시개벽 모든 호 목차 List

다시개벽 2022·겨울호·제9호: 진보 없는 지구학

● 다시열다 ○ 조성환, 권두언 - 자연 없는 생태학, 성장 없는 경제학, 진보 없는 지구학 ● 새글모심 ○ 주기화, 해러웨이의 자연문화와 퇴비주의 ○ 김영진, 화이트헤드의 자연 ○ 안호성, 스티븐 샤비로와 사변적 실재론 ○ 김남희, 가죽가방과 스테이크 그리고 경물敬物 ○ 조성환, 인류세 시대에 다시 읽는 기학氣學 ● 새말모심 ○ 한윤정, 지구를 수리하기, 인간을 수선하기(인터뷰어 산드라·산뜻) ● 새삶모심 ○ 주요섭, 신명과 역설: 생명의 세계관 ‘또’ 다시 쓰기 ○ 윤석, 개벽, 살림, 풍류 ○ 이무열, 혼자이기에 상상할 수 있고 함께 있기에 할 수 있는 정치전환들 ○ 신채원, 화끈하게 모여 본때를 보여줍시다 ○ 신승철, 식량위기를 넘어선 농업의 전략지도 ● 새길모심 ○ 라명재, 천도교수련 2:…

다시개벽 2022·가을호·제8호: 이동, 우리 시대의 화두

● 권두언 RE: START ○ 우석영, 이동을 다시 생각한다 ● 다시쓰다 RE: WRITE ○ 주용기, 위대한 비행을 감행하는 새들과 사람의 평화로운 공생을 바라며 ―무분별한 개발을 중단하고, 공생 방안을 적극 마련해야 ○ 서재현, 어떤 것도 바뀌지 않았다 ○ 홍경실, 앙리 베르그송의 지속과 시천주자侍天主者의 거듭 개벽 ○ 강주영, 시작된 개벽 -생산문명에서 생성문명으로의 이동 ● 다시뿌리다 RE: ACT ○ 권이현, 치유_내 안의 한울님을 발견하고 모셔가는 일 ○ 서혜연, 사랑을 물려 줄 수 있을까 ○ 이무열, 문명전환 하는 지리산정치학교 ― 연결된 사이에서 생성되는 문명전환의 정치 플랫폼을 지향하며 ○ 신채원, 생명학연구회, 무엇을 연구할까 (2) ― 〈지구인문학의 시선〉을 함께 읽다 ● 다시닦다 RE: CULTIVATE ○ 라명재,…

2022·여름호·제7호

● 권두언 RE: START ○ 홍박승진, 내 몸을 떨리게 하는 것은 모두 님이다 ● 다시뿌리다 RE: ACT ○ 윤혜민, 다시는 그전으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다 ○ 신채원, 생명학연구회, 무엇을 연구할까 ○ 맹주형, 생태 문명으로의 전환을 위한 천주교 창조보전운동 ― 생태회칙 ‘찬미받으소서Laudato Si’를 통해 개벽 바라보기 ● 다시쓰다 RE: WRITE ○ 조성환, 우리는 어디에 살고 있는가? ― 라투르의 가이아학과 동아시아사상 ○ 권수현, 연약한 생명체에 깃든 신 ― 정동적·감각적 인식론으로서 페미니즘 ○ 시노하라 마사타케, 조성환 번역, 인류세 시대의 인간과 자연 ― 폐허 이후의 세계를 어떻게 볼 것인가? ● 다시말하다 RE: DIALOGUE ○ 『소설 동학』 저자 김동련(인터뷰어: 노은정) ● 다시읽다 RE: READ ○임동확, 장바닥에…

2022·봄호·제6호

● 권두언 RE: START ○ 조성환, 인류세 시대의 생활개벽 ● 다시뿌리다 RE: ACT ○ 이상미, 나대다, 유랑하다, 행동하다―어느 여성의 시민활동 성장기 ○ 김은정, 되살림―천지마음을 그리워하는 re;design ○ 오충렬, 한 젊은 청년의 초상―내 마음의 평화를 찾아 ● 다시쓰다 RE: WRITE ○ 김남희, 동덕同德이 동덕動德하는 세상 ○ 박병훈, 동학의 다양한 목소리 ○ 유신지, 동학이어야만 말할 수 있는 것들을 위하여 ○ 이나미, 김치와 우리 민족 ○ 김태웅, 동학농민혁명사는 이웃과 동네의 역사가 되어야 한다 ○ 양진석, 시천주 민주주의를 향하여 ● 다시말하다 RE: DIALOGUE ○ 차옥숭, 모든 종교는 ‘나 없음’에서 만난다(인터뷰어 조성환·홍박승진) ● 다시읽다 RE: READ ○ 권수현, 한남 콘텐츠’는 어떻게 혐오를 부추기는가? ― 넷플릭스…

2021·겨울호·제5호

● 권두언 RE: START ○ 조성환, 동학, 어떻게 할 것인가? ● 다시뿌리다 RE: ACT ○ 이은영, 성평등의 시작은 동학이다 ○ 김진희, 한살림과 동학사상 ○ 송지용, ‘지구의 몸짓’으로 나와 지구는 ‘우리’가 된다 ○ 박은정, 내가 인문학을 공부하는 까닭과 의미를 생각해보다 ○ 고석수, 타마, 공부하다, 글 쓰다, 놀다, 바라다 ―이화서원에서 부치는 편지 ● 다시쓰다 RE: WRITE ○ 이주연, ‘여성’으로서의 여성, ‘한울’로서의 여성 ○ 이병창, 서양철학의 관점에서 본 동학의 탈서구중심주의 ―유학사상, 기독교사상과 동학사상의 차이를 통해 ○ 김상준, 역사사회학자가 본 동학 ○ 김용휘, 수양학으로서의 동학 ―어떤 하늘을 열어낼 것인가가 내게 달렸다 ○ 이희연, 평화와 전환의 역동, 평화학과 동학의 만남 ○ 홍박승진, 동학 민주주의는 상향식…

2021·가을호·제4호

● 권두언 RE: START ○ 아픈 것들과 이 땅의 시간 ― 홍박승진 ● 다시쓰다 RE: WRITE ○ 시간들의 교차로에서: 아픈 사람, 퀴어, 장애의 시간 ― 안희제 ○ 멸망을 겪은 자들이 그리는 미래: 아시안 퓨처리즘과 라티노/라티나 퓨처리즘에 대하여 ― 박희주 ○ K-정치좀비물의 기원을 찾아서:순종의 열망과 잡종의 변이 혁명 ― 이원진 ○ 동학·천도교의 생명미래주의biofuturism: 최시형의 향아설위와 김기전의 어린이론을 중심으로 ― 조성환 ○ 지금은 ‘생태적 시간’이 요청되는 때! ― 김대식 ○ 분단의 시간, 북한의 ‘반제反帝’와 ‘주체主體’ ― 정혜정 ○ 연재 3―인간의 본성과 문화 ― 김동민 ● 다시열다 RE: OPEN ○ 나를 반성하다: ‘함께철학’을 통한 나의 개벽 ― 김지우 ● 다시말하다 RE: DIALOGUE ○…

2021·여름호·제3호

● 권두언 PROLOGUE ○ 성민교. 괴물이 된 지구, 괴물이 될 인간[공개] ● 다시쓰다 RE: WRITE ○ 오세란. 인간중심주의란 성인중심주의다: 인간과비인간을 교차하는 존재, 아동과 청소년에 대하여 ○ 최석현. 인류세, 가이아, 에코포이에시스:신기후체제의 시공간과 객체지향 정치 ○ 손성규. 불확실성의 시대를 조망하는인류학적 사고: 가상의 힘을 마주한 상징계,그리고 상징 너머의 인류학 ○ 김서형. 지구사 속 글로벌 네트워크와 전염병 ○ 신혜린. 인류세 살아남기: 소멸의 미학 ○ 김동민. 두 문화의 단절과 반목에 대하여 ● 다시그리다 RE: IMAGINE ○ 김선오. 시 <진화> 외 1편 ○ 김경후. 시 <오로라 계> 외 1편 ○ 김은정. 「스위트홈」의 달콤한 욕망과내 안의 괴물들 ● 다시열다 RE: OPEN ○ 바론 문재훈. 지금, 여기 ● 다시읽다 RE:…

2021·봄호·제2호

● 권두언 PROLOGUE ○ 서학은 형상이 있으나 흔적이 없고 동학은 형상이 없는 듯하나 흔적이 있다 / 홍박승진 [공개] ● 다시쓰다 RE: WRITE ○ 미래로서의 동양, 동양의 미래: 미국 사이언스픽션과 테크노-오리엔탈리즘 / 유상근 ○ 개벽문학의 동향과 과제 / 유신지 ○ 사회주의를 넘어선 평등의 상상력: 김남천 소설의 여성 인물 / 정우경 ○ 한국의 신관을 찾아서: 신들의 전쟁-하늘님 신명神名 논쟁 / 이호재 ○ 최제우의 ‘시천주’와 김소월의 ‘산유화’ / 임동확 ○ 대중문화 이론도 개벽할 때-연재 (1) / 김동민 ● 다시읽다 RE: READ ○ 다시개벽의 역사철학, 내재적 신성을 아는 방향: 백낙청과 김종철의 비판적 포월을 위하여 / 홍박승진 ○ 한국 역사에 대한 신채호의 상상: 『독사신론』을 중심으로…

2020·겨울호·창간호

● 창간사 ○ 2020 『다시개벽』 선언문 [공개] ● 권두언 ○ 서구근대 백여년에 운이역시 다했던가 [공개] ● 다시읽다 ○ 다시 『개벽』을 열며 / 조성환 ○ 내가 계발한 언어와 감성이 “내가 살고 싶은 세상”을 매개하리라 / 김정은 ● 다시듣다 ○ 애벌레가 고치를 지어 나비가 되어야 할 시간 / 조한혜정 ● 다시쓰다 ○ 서구 이론 중심주의에 대한 체험적 성찰 / 홍박승진 ○ 한국현대문학의 언어, 그리고 ‘포스트 포스트콜로니얼’ / 방민호 ○ 회귀하는 세계: 의미는 어디에 있는가? / 차은정 ● 다시열다 ○ 박제된 중심을 벗어나 생기로 꿈틀대기 / 성민교 ○ 지식의 권력과 권력의 물신화 / 김춘규 ● 다시잇다 ○ 세계를 알라 - 『개벽』 창간호(1920.6.25) 중에서…